반월상연골파열 원인
01 | 운동 중 손상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무릎이 뒤틀리거나 전후 좌우로 심하게 꺾이는 경우 발생됩니다. | |
02 | 그 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반월상 연골 자체에 퇴행성 변화가 온 경우 또는 원판형 반월상 연골(discoid meniscus)과 같은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는 사소한 외력에 의해서도 파열될 수 있습니다. |
|
03 | 젊은 사람들은 축구 시합 중에 다리가 돌아가거나, 농구 시합 중 점프 후 착지하면서 다리가 돌아가는 등의 격렬한 운동 중 많이 발생하지만, 나이가 든 사람의 경우 가벼운 부상(계단을 잘못 내려오다 삐끗한 경우, 길을 가다 넘어진 경우)에도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반월상연골파열 증상
01 | 무릎 관절에 통증이 발생하며 심하게 붓기도 함. | |
02 | 양반다리를 했을때, 계단을 오를때,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해짐 | |
03 | 앉았다 일어설때 통증이 발생하며 무릎이 제대로 펴지지 않음. |
반월상연골파열 치료
01 | 반월상연골 봉합술 | 반월상연골 봉합술은 혈액이 통하는 반월상연골판의 가장자리가 찢어지게 된 경우 그 부분을 꿰매야 할 때 사용합니다. 봉합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자신의 연골판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
02 | 반월상연골절제술 | 반월상연골 안쪽이 손상되게 되면 혈액이 통하지 않기 때문에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반월상연골 절제술을 실시, 찢어진 반월상연골을 절제한 후에 다듬는 수술방법으로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절제하거나 완전한 절제 실시합니다. |
03 | 반월상연골이식술 | 관절내시경을 통해 수술부위의 상태를 보면서 새로운 연골을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