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내시경 수술 정보
01 | 관절내시경은 위내시경과 비슷합니다. 속이 쓰리거나 아플 때 위 내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위내시경을 하는 것처럼4mm의 가는 관 속에 초소형 카메라와 수술기구 등을 장착한 뒤 어깨 관절이나 무릎 관절, 발목 관절 속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보면서 진단하고 치료하는 첨단 수술 기법입니다. |
|
02 | 진단과 동시에 치료가 활발하게 사용됩니다. 무릎관절경의 경우 두께가 약 4mm정도로 관절 내의 찢어진 연골이나 연골판의 제거와 봉합, 인대재건술, 유리체이 제거, 활액막 절제술, 손상된 연골의 이식 및 성형술 등 관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

관절내시경수술장점
01 | 수술부위를 관절속을 모니터를 통해 확대하여 보면서 치료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 합니다. | |
02 | 수술부위를 칼로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흉터가 남지 않으며, 회복기간이 빠릅니다. | |
03 | 다른 수술에 비해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단축되어 치료비가 절감됩니다. | |
04 | 수술후 통증이 적어 일상 생활의 복귀가 빠르고, 수술후 염증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
수술 후 관리
01 | 관절내시경 수술 후에는 개인적인 관리가 아주 중요합니다. 수술후 수영이나 아쿠아로빅, 실내자전거타기 등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으면서 관절기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운동도 관절통이 느껴질 정도로는 하지 마시고 주2~3회, 하루 30분 내외로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02 |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은 화자분들은 수술 부위를 장시간 사용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만일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셔야 하며 문제가 생겼는데도 계속 방치한다면 재수술의 위험도 생길 수 있습니다. |
관절내시경 Q&A
- Q 관절내시경 수술 시, 주의사항은?
-
A
관절내시경 수술전에는 1~2일정도 입원해서 사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으시는 분들은 나아가 있으신 노년층인 경우가 많은데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이유에
의해 입원기간 동안에는 엑스레이나 혈액검사, 소변검사등 여러 검사를 통해서 관절내시경 수술을 받아도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 전 자정부터는
금식을 해야 하고 각종 액상식품도 섭취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밥이나 빵 등의 고형물은 물론이고 주스나 녹차, 거피등도 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을 안전하게
받기 위해서는 수술전 복용중인 약물이나 알러지가있는 약물, 약물 대체물, 다리나 기타 신체부위의 혈전증 여부, 최근 감염된 부위 여부, 과거 병력 및 특이사항을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수술 후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에서 꾸준한 운동을 해주시고 근력강화 운동도 매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골영양제를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Q 관절내시경은 부작용이 있나요?
-
A
관절내시경 시술은 일반 절개술보다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부작용이나 합병증의 위험도 그만큼 적습니다. 시술 경험이 부족한 의사에게서 시술을 받을 때 출혈이나 감염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런 부작용 위험은 예전의 절개수술법에 비하면 훨씬 나아졌고 관절 수술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에게 시술을 받으면 이러한 위험은 훨씬 줄어듭니다.
- Q 관절내시경 수술 시 입원기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
A
수술이 끝난 후 특별한 합병증이 없으면 2~3일 정도면 퇴원을 하실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 수술 후에는 충분한 입원기간을 가지고 가장 건강한 몸 상태를 만든 후 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빠르게 퇴원하고자 무리하게 퇴원할 경우 재수술이 불가피할 경우도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의료진의 동의를 얻어 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퇴원 시에는 관절내시경 수술 후
주의사항 및 재활운동법에 대해 안내를 받으시고, 하단에 외래 날짜를 확인해서 반드시 그 날짜에 재방문을 하시고 수술부위가 잘 나아지고 있는지 검사를 받아 보도록 합니다.